이 동 열 (기독교교육학, 조교수) | |
---|---|
![]() |
callinger2510@gmail.com 총신대학교(기독교교육학)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M.A. in C.E.)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D.) 학위논문 A Critique of the Modern Concept of Adolescence Based on the Biblical Concept of Young Adulthood(젊은 세대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 기초한 현대 청소년 개념 비판) 공저 『Youth Ministry That Lasts a Lifetime』 (Seminary Hill Press), 『그리스도 중심 성경 읽기 1, 2, 3』 (IVP) 논문 마리아 몬테소리의 이신론적 교육 철학, 미래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 교육 평가, 성경적 협동 학습에 대한 고찰, 코로나 시대 이후 다음 세대 교육의 현황과 대안 |
김 만 형 (기독교교육학, 부교수) | |
---|---|
![]() |
kimanhy@hanmail.net 총신대학교(B.A.)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R.E., Ph.D.)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Visiting Scholar) 학위논문 Cognitive Style(Witki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Korean-Americans(Ph.D. diss.) 저서 『SS혁신 보고서』(에듀넥스트),『 SS자녀 교육 보고서』(에듀넥스트),『 New SS혁신 보고서』(에듀넥스트) 편저 『예배 속 드리마 1』(에듀넥스트),『 예배 속 드라마 2』(에듀넥스트),『 크리스찬 축제 1, 2, 3』(에듀넥스트) 논문 질적 성장을 위한 기독교 유아 교육, 총체적 사역으로서의 교육 목회, 구도자 예배란 무엇인가, 제자 훈련 사역자의 효과적 가르침을 위한 일곱 가지 전략, 하늘이 열리고 마음이 열리는 예배, 교회 교육 리더십 개발, 삶의 변화를 위한 효과적 교육 방법 익히기,삶의 현장과 연관된 교육을 위한 드라마 익히기, 자원 봉사자 양육, 열린 예배 논점 찾기, 크리스챤 교수법, 국가의 절기와 교회 교육, 청소년과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에게서 보이는 주요 고민에 관한 연구, 교육에서의 철학적 이슈와 기독교교육철학 실제, 예수님의 교육방법론과 설교에의 적용, 창조신학과 기독교교육,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기독교교육, 가정예식을 통한 기독교문화 형성 외 다수 |
김 명 호 (기독교교육학, 부교수) | |
---|---|
![]() |
mhkim.daelim@gmail.com 총신대학교 신학과(B.A.)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R..E., Ph.D.) 학위논문 The Dialogical Approach and Spiritual Growth : Discipleship Training in Korea(Ph.D. diss.) 저서 『균형잡힌 소그룹 지도자』(국제제자훈련원), 『나는 잇는다』(국제제자훈련원) 공저 『한국 교회 제자훈련 미래 전망 보고서: 무엇을 위한 누구의 제자인가』 (IVP), 『영적 성장의 길』(디모데) 역서 『나를 따르라: 당신의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국제제자훈련원) 소논문 History and Perspectives on Discipleship Training of Korean Church, 제자훈련과 가정교회 운동의 비교 연구 |
홍 구 화 (기독교상담학, 부교수) | |
---|---|
![]() |
gyi4@hotmail.com 고려대학교(B.A. 법학) 고려대학교 대학원(M.A. in Law)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Fuller Theological Seminary(Ph.D. in Clinical Psychology) 학위논문 Ethnic Support, Religious Support, Gratitude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Korean American Christians (Ph.D.) 논문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영적 정신역동적 이해: 창 3: 1-21과 요 4: 1-12을 중심으로; 목회자의 퇴행과 목회자의 퇴행 압력: Kernberg의 연구를 중심으로; 분노조절을 위한 통합적 접근: Hall의 공감적 접근이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치료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칼빈주의와 심리학의 이중 언어로 이루어지는 상담; 목회 돌봄과 목회 상담의 윤리; 교회전통에 비추어 본 목회 돌봄과 상담의 원리: Gregory 대제와 Baxter를 중심으로; What brings forgiveness: Reflections on three cases; 개혁주의에 기초한 상담;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n God Locus of Control and Christian Mental Health: The Mediating Effect of God Images;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신념과 하나님의 이미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한 효과적인 위로사역; Theological and practical review of ministry for wife abuse. 외 다수 |